top of page

 Observing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recent years of Nam Tchun-Mo`s work. one can discover the diverse methods of experimentation he performed using cloth. From 1998 to present, he has continued his experiments with cloth in various forms such as two dimension, three dimension and installation. His 3D works deal with the unique soft and variable properties of the material; the 2D works consist of black and white drawings; and his installations are mainly by spreading colorful cloth on the floor. The diverse attempts through the medium of cloth, finally result in the artist`s "Stroke Line" series, which have become like a trade mark of his work.

 His drawings which are the matrix of the "Stroke Line" work consist mainly of long black bar images. These idea sketches can be understood as the origin of the "ㄷ” shapes in his three dimensional works. I assume that Nam Tchun-Mo was planning a combination of identical patterns through his drawings. His black drawings in acrylic on canvas started out in long rectangle bars, but as the idea was made concrete through the utilization of cloth, it became a "ㄷ” shape with one side open.

 Nam`s installation he presented at his one-man show at Ci-Gong Galley in 1998, clearly demonstrates the soft material properties of cloth. The work consisting of long bar shape pieces of bent cloth hung on the wall or spread on the floor, did not however include an interest in color. The experiment he wanted to perform through the installations in this exhibition was not about the issue of aesthetic perception through color, but rather focusing on the numerous expressions in the material, cloth. He gradually built a foundation for a more perfect form of the "Stroke Line" by combining many "ㄷ” shape cloths and attaching them to the wall(they are th first form of today`s "Stroke Line" series), or sticking such shapes of cloth on canvases. The characteristic of his works in this period is that the material properties of the cloth are shown naturally in the rough edges of the cut cloth. As his work becomes more conclusive, these are transformed into strictly straight lines. In other words, his work went through a transformation process from soft object to hard object. In this transformation, color becomes an issue.

 It is noteworthy that before the full-scale appearance of color, there were experiments with black and white. Nam Tchun-Mo began a series of experimentation with achromatic colors in 1999. This resulted in his "Stroke-Black Line" series. The series can be divided into 2D works which served as drafts for the realization of 3D works, and the actual 3dimensional works. The 3 dimensional works had a "W" shaped structure. The series which may be called a sort of 3 dimensional drwing consisted of works creating optical illusions by painting the floor of "ㄷ”shape structures black and leaving the sides white. It was in this series that the "tactile characteristics" of Nam`s work transformed into "perceptive characteristics."

 In the same year Nam Tchun-Mo carries out experiments with colors as well as black and white. Colored work such as "Stroke Line-R-6" and "Stroke Line-Y-2" are an intermediate stage before the "ㄷ” shaped relief paintings. They include both tactile and perceptive characteristics. The edges of the cloth are irregular and untidy, showing a transition period. The peculiar thing is that cloth with flower patterns or spots appear for the first time in his work. Such work has reappeared in this exhibition.

 2000 was a year in which Nam`s work limited itself to colored form and achieved further perfection. Such change which was intensified in Nam`s one-man show at Ci-Gong Gallery took the direction of decreasing "tactility" and increasing "perceptivity"  The direct cause of such change was the strict form of the works. A more perfect finish of individual units(ㄷ shapes) combinations of the hard clean edges of the plastic coated cloth and strict straight lines tell us that the key to Nam`s work is in the issue of aesthetic perception.

 Nam Tchun-Mo`s minimal relief paintings  induce pure experiences of perception in spectators. His work in moderate pastel tone colors softly capture the viewers eye. The spectator can confirm the two-dimensional effect and three dimensional state by adjusting their distance from the works. Spectators discover that the stripes they saw from a distance were actually three dimensional bands and the subtle gradation surrounding the stripes were actually shadows of the stripes. This exquisite perceptional experience provided by Nam`s work is in contrast to the strictness of minimal painting. Unlike minimal painting that rejects any sort of association, his work allows spectators to imaginate. His colors of the names soft Apricot Yellow, soft Chrome Yellow, soft Tangerine Red, soft Amber Grow, soft Baby Pink, soft Grayish Red Brown, soft Citronella, and soft Emerald Green open possibilities for imagining object or personal experiences as diverse as the traditional names of these colors.

 "Each of his work is an independent object. All they do is "exist there." They do not allow intensional intervention or manipulation. A non-individual band combines with the others to form a neutral object. Independent from certain ideas or ideologies, it carries pure material properties. It is only color, which allows association. Only the yellowish or bluish colors leave room for a hazy imagination. Color is the only part in which the spectator may get involved in. Spectators can subjectively make a certain association from the work, however, if they leave the domain of color, all associations also are brought to a stop."

- Unworthy Manuscript, 'Making' and 'Object hood' ,

Introduction for private show at Lee Hyun Gallery, 2002-

 Association is a sort of echo, the way an object exists, or reverberation of such existence. Human perception is in no case free from such "echoing". Nam Tchun-Mo`s work opens our eyes to this awareness. One of the reasons minimal painting could not but sink, leaving only the thing itself behind is that it took pains to deny this human fate of perception. The following statement by Merleau-Ponty is thought-provoking.

 "The character, light, color, depth of objects that are before us only exist there because they bring echoes inside our body, and because our body welcomes them"

-Merleau-Ponty, Eye and Mind, trans. by Oh Byeong-Nam,

Phenomenology and Art, pp. 293-4.

Nevertheless, in Nam`s work association is an accompaniment, and not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Rather, it can be said that the characteristic of the work lies in the work`s "objecthood," in other words, the directness of the labor in the making. the artist`s relief painting made by spreading dyed cloth in a "ㄷ“ shaped wooden frame and repetitively coating it with synthetic resins, carries clear physical properties. As a body, his work opens up itself for the sake of spectators`pure perceptive experiences. The color that dwells inside the hard shell of transparent plastic is a passage to approach this physical body.

Review

Yoon, Jin-Sup

(Art Critic/Professor, Honam University)

앵커 10

윤진섭

 최근 몇 년간에 걸친 남춘모 작업의 변천 과정을 살펴볼 때, 천에 대한 그의 실험이 다각적인 방법을 통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그 기간은 대략 1998년에서 현재에 이르고 있는데 이 시기에 그는 천을 입체와 평면, 그리고 설치의 관점에서 실험을 지속해 왔다. 입체작품은 부드럽고 가변적인 천의 고유한 물성을 다룬 것이며, 평면작품은 흑백의 드로잉이, 설치작업은 입체적인 화려한 원색의 천을 바닥에 깐 작품들이 주류를 이룬다. 그리고 천을 매재로 삼아 이루어진 다양한 시도는 마침내 그의 트레이드 마크가 되어버린 <Stroke Line> 연작으로 귀결되기에 이른다.

 <Stroke Line>의 모태가 된 드로잉 작업은 긴 막대 모양의 검정색 드로잉 작품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데, 말하자면 일종의 아이디어 스케치라고 할 수 있는 이 드로잉 작업이 현재 그의 입체작품에서 볼 수 있는 ‘ㄷ’자 형태의 원조라고 할 수 있다. 남춘모는 이 드로잉 작품을 통해 동일한 패턴의 조합을 구상했던 것으로 짐작된다. 캔버스에 아크릴로 그려진 그의 검정색 드로잉은 처음에는 직육면체의 긴 막대구조를 지니고 있었으나, 그것이 천이란 매재를 통해 구체화되면서 한 면이 트인 ‘ㄷ’자 형태를 취하게 된다.

 1998년도에 시공갤러리에서 열린 개인전에 출품한 설치작업은 부드러운 천의 물성을 생생하게 드러낸 것이었다. 중간 부분이 꺾인 긴 막대 모양의 천들을 벽과 바닥에 걸쳐놓은 이 설치작업에는 미처 색에 대한 그의 관심이 나타나 있지 않았다. 이 전시회에 출품됐던 설치작업들을 통해서 그가 시도하고자 했던 실험은 색을 통한 미적 지각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기보다는 오히려 천이 지닌  풍부한 물성의 표정에 주목한 것이었다. 그는 여러 개의 ‘ㄷ’자 형 천을 조합하여 벽에 부착하거나(이것이 현재 보는 것과 같은 <Stroke Line>의 최초의 형태이다.), 캔버스에 하나의 ‘ㄷ'자 형 천을 부착하는 작업을 실험함으로써 보다 완전한 형태의 <Stroke Line>으로 나아가는 토대를 마련했던 것이다. 이 시기의 작품들의 특징은 절단된 천의 가장자리가 요철이 심하여 천의 물성이 자연스럽게 드러나고 있는 점인데, 이는 추후에 작업의 완결성이 높아지면서 엄격한 직선의 형태를 취하게 된다. 즉,  ’부드러운 오브제(soft object)' 의 형태에서 점차 ‘엄격한 오브제(hard object)’ 의 형태로 전이되기에 이르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의 요인에는 ‘색’의 개입이 존재한다.

 본격적인 유채색의 개입이 나타나기 전에 흑과 백에 의한 무채색 실험이 있었다는 점도 주목해야 할 부분이다. 남춘모는 1999년에 일련의 무채색에 대한 실험을 시도했다. <Stroke-Black Line> 연작이 그것이다. 이 연작은 입체작품의 실현을 위한 밑그림 성격의 평면 작업과 본격적인 입체작업으로 구분되는데, 그 중에서 입체작업은 일종의 병풍처럼 ‘W'자형의 구조를 지닌 작품이었다. 일종의 입체드로잉이라고 할 수 있는 이 연작은 ’ㄷ‘자 형의 구조 중에서 바닥부분을 검정색으로 칠하고 벽체에 해당하는 양옆의 부분은 흰색으로 남긴, 따라서 시각적 착시효과를 가져다주는 작품들이다. 이 연작에 이르러 비로소’촉각적 성격이 ‘지각적 성격’으로 전환되기에 이르는 것이다.

 같은 해에 남춘모는 무채색의 실험과 함께 유채색에 대한 실험도 동시에 시도하고 있다. <Stroke Line-R-6>, <Stroke Line-Y-2>와 같은 일련의 유채색 작품들은 ‘ㄷ'자 형의 부조회화에 대한 실험의 맹아가 되는 것들인데, 이 작품들에는 촉각적인 성격과 지각적인 성격이 공존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요철을 이룬 천의 끄트머리는 단정하지 않고 천의 보푸라기들이 다소 거친 상태로 잔존하고 있어 과도기 적인 상태를 보여준다. 특이한 것은 단색의 천뿐만 아니라 꽃무늬 천과 함께 점박이 무늬의 천이 처음으로 등장하고 있다는 점인데, 이러한 류의 작품들은 이번 전시회를 통해 재등장하고 있다.

 2000년 무렵은 남춘모의 작업이 유채색에 대한 한정으로 자리잡음으로써 한층 더 완벽성을 꾀하게 된 해였다. 시공갤러리 개인전에 집약되어 나타난 이러한 변화는 ‘촉각적 성격’이 약화되는 동시에 그 반대급부로 ‘지각적 성격’이 강화되는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한 변화를 촉발시킨 직접적인 요인은 무엇보다 작품의 엄격한 형태이다. 작품을 이루는 개별단위(‘ㄷ'자 형)의 보다 완벽한 마무리-합성수지가 입혀진 천의 단단하며 깨끗하게 잘린 면과 엄격한 직선의 조합이 이루어내는 남춘모 작업의 요체가 ’미적 지각(aesthetic perception)'의 문제에 있음을 말해준다.

 남춘모의 미니멀한 부조회화는 관객의 순수한 지각체험을 유발한다. 은은한 파스텔 톤의 중성색조를 띤 그의 작품은 부드럽게 보는 자의 시선을 사로잡는다. 관객은 작품과의 거리조정을 통해 평면적 효과와 입체적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관객은 멀리서 보았던 줄무늬가 실제로는 화면으로부터 튀어나온 입체의 띠임을, 그리고 줄무늬 주변의 은은한 계조(gradation)가 실은 띠의 그림자였음을 깨닫게 된다.

남춘모의 작품이 제공하는 이 미묘한 지각체험은 미니멀 회화의 엄격함과는 매우 대조적인 것이다. 그 어떤 연상도 거부하는 미니멀 회화와는 달리 그의 작품은 일덩 부분 관객의 연상을 허용한다. 연한 계란색(soft Apricot Yellow), 연한 개나리색(soft Chrome Yellow), 연한 살구색(soft Tangerine Red), 연한 호박색(soft Amber Grow), 연한 핑크색(soft Baby Pink), 연한 간장색(soft Grayish Red Brown), 연한 배추색(soft Citronella), 연한 에메랄드 그린색(soft Emerald Green) 등으로 부를 수 있는 색상은 그것의 고유 색명(traditional color name) 만큼이나 다양한 사물, 혹은 개인적인 체험을 연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다.

 “그의 작품은 하나 하나가 독립된 사물(object)이다. 그것들은 전적으로 “거기에 존재할 뿐”, 의식적인 개입이나 조작(manipulate)을 허용하지 않는다. 틀에서 떨어져 나온 몰개성적인 하나의 띠는 다른 것들과 합쳐져 중성적인 성격의 사물을 이룬다. 특정한 관념이나 이데올로기로부터 독립된 그것은 순수한 물성을 지닌다. 연상을 허용하는 것은 오로지 색이다. 노랑 기미의 색, 파랑 기미의 색상만이 어렴풋이 어떤 연상을 허용할 뿐이다. 관객이 개입할 수 있는 부분은 바로 이 색뿐이다. 관객은 자신의 경험으로부터 주관적으로 어떤 연상을 떠올릴 수 있다.그러나 색의 영역을 떠나면 일체의 연상은 중지된다.”

-졸고, ‘만드는’ 행위와 사물성, 이현갤러리 개인전 서문. 2002-

 연상은 일종의 반향이자 사물의 존재방식, 혹은 그러한 존재의 울림이다. 인간적 지각은 어떤 경우이든 이 ‘울림’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남춘모의 작품은 그러한 자각(自覺)을 우리에게 일깨워준다. 미니멀 회화가 물 자체(thing itself)만을 남기고 침몰하지 않을 수 없었던 이유에는 존재의 울림이란 이 인간적 지각의 숙명을 애써 부정하려한 데 있었다. 메를로 뽕띠의 다음과 같은 언설은 그런 점에서 시사적이다.

“우리 앞에 현존하고 있는 사물의 성질, 빛, 색, 깊이 등은 오직 그들이 우리의 신체 속에 반향을 불러 일으켜 놓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리고 신체는 그들을 환영하기 때문에 그것에 존재하고 있는 것일 뿐이다.”

- 메를로 뽕띠, 눈과 마음, 오병남 역, 현상학과 예술, 293-4쪽.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춘모의 작품에 있어서 연상은 부수적인 것일 뿐, 그것이 작품의 특질 전부가 될 수는 없다. 그보다는 오히려 작품의 사물성(objecthood), 즉 만드는 행위에서 오는 노동의 직접성 속에 작품의 특질이 깃들어 있다고 할 수 있다. ‘ㄷ’자 형 나무의 틀에 염색된 천을 깔고 그 위에 투명한 합성수지를 거듭 칠함으로써 완성되는 그이 부조회화는 명징한 신체적 속성을 지닌다. 그의 작품은 하나의 신체로서 관객의 순수한 지각 체험을 위해 자신을 열어 보인다. 투명수지의 단단한 외피 속에 깃들어 있는 색은 그러한 신체에 다가가기 위한, 하나의 통로이다.

Review

윤진섭

(비평가/한남대학교 교수)

bottom of page